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본데없는 사람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적절한 말은?   (     ) 자란 사람.   ㄱ.본대없이 ㄴ.본데없이 ㄷ.본때없이   보고 배운 것이 없거나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표현을 할 때 이처럼 셋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헷갈린다. 정답부터 얘기하면 ‘ㄴ.본데없이’다.   ‘본데없이’는 말이나 행실이 버릇없고 난폭하다는 뜻을 가진 ‘본데없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본데없다’는 “본데없는 놈 같으니라고” “본데없이 자란 사람처럼 굴어선 안 된다”처럼 쓰인다. ‘ㄱ.본대없이’는 잘못된 표기다.   ‘본때’는 본보기가 될 만한 것 또는 맵시나 모양새를 의미한다. ‘본때’와 ‘본데’가 비슷한 뜻이기는 하나 ‘본때’의 폭이 더욱 넓다. “그 사람은 본때 있는 집안에서 자랐다”처럼 ‘본데’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외적인 모양새를 가리킬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도 남들처럼 본때 있게 살아 보자”가 이런 경우다.   정리하면 ‘본데’는 주로 예의범절·교양 등 내적인 소양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본때’는 내적·외적 측면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나타낼 때 더욱 잘 어울린다. 또 하나 차이는 ‘본데’는 ‘본데없다’는 동사로도 쓰이지만 ‘본때’는 ‘본때없다’는 동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ㄴ.본데없이’가 가장 적절한 표현이지만 ‘ㄷ.본때없이’도 ‘본때 없이’로 띄어쓰기를 한다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우리말 바루기 외적 측면 다음 괄호

2024-11-19

[우리말 바루기] ‘실고’, ‘싣고’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차를 배에 (실고, 싣고) 갔다.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낱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리는 것이다. 원형이 ‘싣다’라는 것은 알지만 ‘실으니’ ‘실으면’으로 활용되는 것을 생각하면 ‘실고’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대체로 ‘싣고’보다 ‘실고’가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 ‘실고’로 적는 경향이 있다.   우선 ‘싣다’는 “차에 짐을 실어 날랐다”처럼 물체를 운반하기 위해 차·배·비행기 등에 올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버스에 몸을 실으니 노곤함이 다가왔다”와 같이 사람이 어떤 곳을 가기 위해 탈것에 오른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쓰임에서 보듯 ‘싣다’는 ‘실어’ ‘실으니’로 활용된다. 그러다 보니 서두의 문제도 ‘실고’가 정답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싣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실어, 실으니’ 등으로 활용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는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는, 싣지’ 등이 된다.   문제에서도 모음이 아니라 자음인 ‘-고’와 결합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고’로 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 ‘싣고’다.   이처럼 ‘ㄷ’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활용을 하는 낱말을 ‘ㄷ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우리말 바루기 실고 불규칙 용언 다음 괄호

2024-05-01

[우리말 바루기] 본데없는 사람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적절한 말은?   (     ) 자란 사람.   ㄱ.본대없이 ㄴ.본데없이 ㄷ.본때없이   보고 배운 것이 없거나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표현을 할 때 이처럼 셋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헷갈린다. 정답부터 얘기하면 ‘ㄴ.본데없이’다.   ‘본데없이’는 말이나 행실이 버릇없고 난폭하다는 뜻을 가진 ‘본데없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본데없다’는 “본데없는 놈 같으니라고” “본데없이 자란 사람처럼 굴어선 안 된다”처럼 쓰인다. ‘ㄱ.본대없이’는 잘못된 표기다.   ‘ㄷ.본때없이’를 정답으로 고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본때’는 본보기가 될 만한 것 또는 맵시나 모양새를 의미한다. ‘본때’와 ‘본데’가 비슷한 뜻이기는 하나 ‘본때’의 폭이 더욱 넓다. “그 사람은 본때 있는 집안에서 자랐다”처럼 ‘본데’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외적인 모양새를 가리킬 때 더욱 잘 어울린다. “검은 안경을 낀 모습이 본때 있어 보였다”가 이런 경우다.   정리하면 ‘본데’는 주로 예의범절·교양 등 내적인 소양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본때’는 내적·외적 측면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나타낼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말 바루기 외적 측면 다음 괄호

2024-01-22

[우리말 바루기] ‘실고’ 갈까? ‘싣고’ 갈까?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차를 배에 (실고, 싣고) 갔다.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낱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리는 것이다. 원형이 ‘싣다’라는 것은 알지만 ‘실으니’ ‘실으면’으로 활용되는 것을 생각하면 ‘실고’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대체로 ‘싣고’보다 ‘실고’가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 ‘실고’로 적는 경향이 있다.   우선 ‘싣다’는 “차에 짐을 실어 날랐다”처럼 물체를 운반하기 위해 차·배·비행기 등에 올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버스에 몸을 실으니 노곤함이 다가왔다”와 같이 사람이 어떤 곳을 가기 위해 탈것에 오른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쓰임에서 보듯 ‘싣다’는 ‘실어’ ‘실으니’로 활용된다. 그러다 보니 서두의 문제도 ‘실고’가 정답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싣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실어, 실으니’ 등으로 활용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는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는, 싣지’ 등이 된다.   문제에서도 모음이 아니라 자음인 ‘-고’와 결합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고’로 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 ‘싣고’다.   이처럼 ‘ㄷ’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활용을 하는 낱말을 ‘ㄷ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우리말 바루기 실고 불규칙 용언 다음 괄호

2023-10-19

[우리말 바루기] 본데없는 사람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적절한 말은? (     ) 자란 사람.   ㄱ.본대없이 ㄴ.본데없이 ㄷ.본때없이   보고 배운 것이 없거나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표현을 할 때 이처럼 셋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헷갈린다. 말할 때는 크게 관계없으나 막상 적으려고 하면 아리송하다. 정답부터 얘기하면 ‘ㄴ.본데없이’다.   ‘본데없이’는 말이나 행실이 버릇없고 난폭하다는 뜻을 가진 ‘본데없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본데없다’는 “본데없는 놈 같으니라고” “본데없이 자란 사람처럼 굴어선 안 된다”처럼 쓰인다. ‘ㄱ.본대없이’는 잘못된 표기다.   ‘ㄷ.본때없이’를 정답으로 고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본때’는 본보기가 될 만한 것 또는 맵시나 모양새를 의미한다. ‘본때’와 ‘본데’가 비슷한 뜻이기는 하나 ‘본때’의 폭이 더욱 넓다. “그 사람은 본때 있는 집안에서 자랐다”처럼 ‘본데’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외적인 모양새를 가리킬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도 남들처럼 본때 있게 살아 보자” “검은 안경을 낀 모습이 본때 있어 보였다”가 이런 경우다.   정리하면 ‘본데’는 주로 예의범절·교양 등 내적인 소양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본때’는 내적·외적 측면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나타낼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말 바루기 외적 측면 다음 괄호

2023-05-21

[우리말 바루기] ’실고‘ 갈까? ’싣고‘ 갈까?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차를 배에 (실고 싣고) 갔다.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낱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리는 것이다. 원형이'싣다'라는 것은 알지만'실으니''실으면'으로 활용되는 것을 생각하면'실고'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대체로'싣고'보다'실고'가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실고'로 적는 경향이 있다.   우선'싣다'는 "차에 짐을 실어 날랐다"처럼 물체를 운반하기 위해 차.배.비행기 등에 올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버스에 몸을 실으니 노곤함이 다가왔다"와 같이 사람이 어떤 곳을 가기 위해 탈것에 오른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쓰임에서 보듯'싣다'는'실어''실으니'로 활용된다. 그러다 보니 서두의 문제도'실고'가 정답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싣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되는 경우에만'실어 실으니' 등으로 활용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는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싣는 싣지' 등이 된다.   문제에서도 모음이 아니라 자음인'-고'와 결합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싣고'로 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싣고'다.   이처럼'ㄷ'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ㄹ'로 변하는 활용을 하는 낱말을'ㄷ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우리말 바루기 실고 다음 괄호

2023-05-16

[우리말 바루기] ‘빼앗아’, ‘빼았아’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말 두 가지를 고르시오.   겨울은 가을의 모든 색을 ( ) 갔다.   ㄱ. 빼앗아 ㄴ. 빼았아 ㄷ. 뺏어 ㄹ. 뺐어   항상 헷갈리는 단어다. 혹 ㄴ과 ㄹ을 고른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답은 ㄱ과 ㄷ이다. 이 단어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기본형이 ‘빼앗다’인가 ‘빼았다’인가에서부터 출발한다.   기본형을 ‘빼았다’(남의 것을 억지로 제 것으로 만든다는 뜻)로 생각한다면 당연히 ㄴ과 ㄹ이 답이 된다. 그러나 기본형이 ‘빼앗다’이기 때문에 ‘빼았아’ ‘뺐어’ 형태는 나올 수 없다. ‘빼앗다’는 ‘빼앗아, 빼앗은, 빼앗으니’ 등으로 활용된다.   더욱 헷갈리게 만드는 것은 ‘빼앗다’를 줄이면 ‘뺏다’가 된다는 사실이다. 과거형인 ‘빼앗았다’와 혼동해 줄임말을 ‘뺐다’로 쓰기 십상이다. 그러나 줄임말은 ‘뺏다’이므로 ‘뺏어, 뺏은, 뺏으니’ 등으로 활용된다. 그러니까 ‘빼앗아=뺏어’가 성립한다. ‘빼앗아’가 줄어 ‘뺏어’가 됐다고 생각해도 된다.   ‘빼앗다’ 또는 ‘뺏다’의 과거형은 ‘빼앗았다’ ‘뺏었다’가 된다. 따라서 어느 경우든 ‘뺐-’이나 ‘빼았-’ 형태는 나올 수 없다. “매혹적인 풍경이 여행자의 시선을 빼앗았다[뺏었다]”처럼 쓰인다. 문제의 정답인 ‘빼앗아’ ‘뺏어’와 과거형인 ‘빼앗았다’ ‘뺏었다’ 형태를 외워두면 된다.우리말 바루기 다음 괄호

2022-12-13

[우리말 바루기] 담궜나? 담갔나?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겨우내 먹을 김치를 ( ).   ㄱ. 담궜다 ㄴ. 담았다 ㄷ. 담갔다   아마도 가장 많이 고른 것은 ㄱ이라 생각된다. 대부분 사람이 ‘담궜다’로 알고 있다. 하지만 정답이 아니다. 그러면 ㄴ일까. ‘담았다’ 역시 아니다. 정답은 ㄷ.   김치·젓갈 등을 만들어 익거나 삭도록 그릇에 넣어 두다는 뜻의 단어는 ‘담그다’이다. ‘담구다’나 ‘담다’가 아니다. ‘담구다’는 아예 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담다’는 어떤 물건을 그릇 등에 넣다는 의미로 쓰인다. 김치 역시 장독이나 용기에 넣기는 하지만(담다) 단순히 장독 등에 넣는 것은 김치를 제조하는 것(담그다)과는 다르다. 따라서 ‘담았다’가 정답이 될 수는 없다.   기본형이 ‘담그다’라는 것을 기억하면 ‘담그고, 담그니, 담그면’ 등으로 활용해 쓰는 것은 별 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담가’ 형태다. ‘담그+아’는 ‘담가’, ‘담그+았다’는 ‘담갔다’가 된다. 활용할 때 불규칙하게 어간의 ‘으’가 떨어져 나간다. 이런 것을 ‘으’ 불규칙 동사라고 한다.   ‘담구다’가 없는 말이므로 ‘담궈, 담궜다, 담구니’는 모두 ‘담가, 담갔다, 담그니’로 고쳐야 한다. 가장 헷갈리는 것이 ‘담가’ ‘담갔다’ 형태이므로 따로 외워두면 좋다.우리말 바루기 다음 괄호

2022-12-12

[우리말 바루기] ‘실고’ 갈까? ‘싣고’ 갈까?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차를 배에 (실고, 싣고) 갔다.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낱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리는 것이다. 원형이 ‘싣다’라는 것은 알지만 ‘실으니’ ‘실으면’으로 활용되는 것을 생각하면 ‘실고’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대체로 ‘싣고’보다 ‘실고’가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 ‘실고’로 적는 경향이 있다.   우선 ‘싣다’는 “차에 짐을 실어 날랐다”처럼 물체를 운반하기 위해 차·배·비행기 등에 올린다는 의미로 쓰인다. “버스에 몸을 실으니 노곤함이 다가왔다”와 같이 사람이 어떤 곳을 가기 위해 탈것에 오른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쓰임에서 보듯 ‘싣다’는 ‘실어’ ‘실으니’로 활용된다. 그러다 보니 서두의 문제도 ‘실고’가 정답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싣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실어, 실으니’ 등으로 활용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는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는, 싣지’ 등이 된다.   문제에서도 모음이 아니라 자음인 ‘-고’와 결합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어간이 살아 있는 형태인 ‘싣고’로 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 ‘싣고’다.   이처럼 ‘ㄷ’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활용을 하는 낱말을 ‘ㄷ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이러한 변화를 하는 것으로는 ‘듣다’도 있다. 자음 앞에서는 ‘듣고, 듣지, 듣더라’와 같이 어간의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그러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들어, 들으니’와 같이 ‘ㄷ’이 ‘ㄹ’로 바뀐다. ‘걷다, 깨닫다, 묻다(問)’ 등도 ‘ㄷ 불규칙 용언’이다.우리말 바루기 실고 불규칙 용언 다음 괄호

2022-09-15

[우리말 바루기] 본데없는 사람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적절한 말은?   (     ) 자란 사람.   ㄱ.본대없이 ㄴ.본데없이 ㄷ.본때없이   보고 배운 것이 없거나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표현을 할 때 이처럼 셋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헷갈린다. 정답부터 얘기하면 ‘ㄴ.본데없이’다.   ‘본데없이’는 말이나 행실이 버릇없고 난폭하다는 뜻을 가진 ‘본데없다’를 활용한 표현이다. ‘본데없다’는 “본데없는 놈 같으니라고” “본데없이 자란 사람처럼 굴어선 안 된다”처럼 쓰인다. ‘ㄱ.본대없이’는 잘못된 표기다.   ‘ㄷ.본때없이’를 정답으로 고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본때’는 본보기가 될 만한 것 또는 맵시나 모양새를 의미한다. ‘본때’와 ‘본데’가 비슷한 뜻이기는 하나 ‘본때’의 폭이 더욱 넓다. “그 사람은 본때 있는 집안에서 자랐다”처럼 ‘본데’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외적인 모양새를 가리킬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도 남들처럼 본때 있게 살아 보자” “검은 안경을 낀 모습이 본때 있어 보였다”가 이런 경우다.   정리하면 ‘본데’는 주로 예의범절·교양 등 내적인 소양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본때’는 내적·외적 측면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나타낼 때 더욱 잘 어울린다. 우리말 바루기 외적 측면 다음 괄호

2022-09-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